맨위로가기

상주 주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주 주씨는 당나라에서 신라로 귀화한 주이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상주 주씨는 도은공파, 박사공파, 시랑공파, 창의공파, 판서공파 등으로 분파되며, 조선 시대에 주세붕, 주명신, 주시경, 주영복, 주선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물을 배출하였다. 조선 시대에 문과 6명, 무과 10명의 급제자를 배출했으며, 경상남도 합천군, 함안군, 창녕군, 경상북도 문경시, 전라남도 장흥군, 평안북도 박천군 등지에 집성촌이 존재한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는 22,909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주 주씨 - 주시경
    주시경은 황해도 출신으로 배재학당에서 교육받고 독립신문 활동을 통해 국어 운동에 참여하여 국문동식회를 조직, 국어 교육과 연구에 헌신하며 현대 한국어 문법의 토대를 구축한 한국어 연구의 선구자이자 근대 국어학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이다.
  • 상주 주씨 - 주세붕
    주세붕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풍기 군수로 재직하며 백성을 위한 선정을 펼치고 한국 최초의 서원인 소수 서원을 창설했으며, 청백리에 녹선되고 사후 예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상주 주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문 이름상주 주씨
한자 표기尙州周氏
관향경상북도 상주시
시조(주이, 周頤)
중시조해당 정보 없음
창성 시기해당 정보 없음
기원
유래(주이)를 시조로 한다.
지역상주
설명상주는 경상북도 서북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본래 진한의 일부였으며, 고구려 시대에는 "사벌주"로 불렸다. 신라 경덕왕 때 "상주"로 개칭되었다.
인물 정보
주요 인물주세붕, 주명신, 주시경, 주영복, 주선회, 주신영
연결된 인물주시경, 지현우
기타 정보
집성촌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문림리
인구 (2015년)22,909명

2. 역사

시조 주이(周頤)는 덕종 때 병부시랑(兵部侍郞)을 지냈고, 786년(원성왕 2년)에 부사(副使)가 되어 신라에 왔다가 귀화하여 시위부대감(侍衛府大監), 병부령(兵部令), 상주총관(尙州摠管)을 역임하고, 상주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그의 아들 주황(周璜)은 당나라에 들어가 한림학사(翰林學士)가 되었고, 귀국한 이후 희강왕 때 예부경(禮部卿)을 역임했다고 한다.

3. 분파


  • 도은공파(陶隱公派): 20세손 주유를 중시조로 한다.
  • 목천파(木川派)
  • 박사공파(博士公派): 주유의 동생 주선을 중시조로 한다.
  • 시랑공파(侍郞公派): 주관을 1세조로 한다.
  • 창의공파(倡義公派): 주관의 8세손 주선남을 중시조로 한다.
  • 판서공파(判書公派): 19세손 주세후를 중시조로 한다.
  • 교수공파

4. 인물

상주 주씨의 주요 인물로는 조선시대 학자 주세붕, 조선 말기 의학자 주명신, 국어학자 주시경, 국방부 장관과 내무부 장관을 역임한 주영복, 헌법재판소 재판관 주선회 등이 있다.

4. 1. 역사 속 인물


  • 주세붕(1495년 ~ 1554년) : 주유의 5세손. 1522년(중종 17)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541년 풍기군수가 되었고, 1543년 백운동서원을 건립하여 조선 서원의 시초를 이루었다. 1548년 호조참판을 역임하고, 1549년 황해도관찰사가 되어 해주에 수양서원(首陽書院)을 건립하였다. 이후 대사성·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하다가 병으로 사직을 요청하였으나 동지성균관사에 체임되었다.[1]
  • 주명신 : 조선 말기의 의학자. 동의보감을 참조하여 1724년(경종 4) 의문보감을 저술하였다.[2]
  • 주시경(1876년 ~ 1914년) : 국어학자. 한자 폐지와 한글 표기를 주장하며, 현대 한글과 한국어 체계를 정립하고 보급하는 데 기여하였다.[3]
  • 주영복(1927년 ~ 2005년) : 제22대 국방부 장관, 제42대 내무부 장관[4]
  • 주선회(1946년 ~ ) : 헌법재판소 재판관[5]

4. 2. 근현대 인물


  • 주시경 (1876년 ~ 1914년): 국어학자. 한자 폐지와 한글 표기를 주장하며, 현대 한글과 한국어 체계를 정립하고 보급하는 데 기여하였다.
  • 주영복 (1927년 ~ 2005년): 제22대 국방부 장관, 제42대 내무부 장관
  • 주선회 (1946년 ~ ): 헌법재판소 재판관

5. 과거 급제자

상주 주씨 과거 급제자[6]
வகை이름
문과주박(周博), 주봉한(周鳳翰), 주세붕(周世鵬), 주윤창(周允昌), 주이(周怡), 주중문(周仲文)
무과주덕량(周德亮), 주득립(周得立), 주만년(周萬年), 주명천(周命天), 주봉명(周鳳鳴), 주봉엽(周鳳曄), 주상인(周尚仁), 주억세(周億世), 주정신(周鼎新), 주지윤(周祉胤)
생원시주명로(周命魯), 주박(周博), 주세붕(周世鵬), 주준(周氵+寯), 주채(周寀)
역과주필흥(周必興)
진사시주거원(周巨源), 주박(周博), 주봉상(周鳳祥)


6. 집성촌

지역
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문림리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 무의리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무릉리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노리
경상북도 문경시 동로면 중평리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금산리
평안북도 박천군 양가면 심대리[5]


7. 인구

연도인구
2000년18,384명
2015년22,909명


8. 항렬자

상주 주씨 항렬표
세(世)17세18세19세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
위치가운데가운데가운데가운데가운데가운데
항렬자시(時)회(會)영(永)식(植)환(煥)재(載)호(鎬)
현(鉉)
종(鍾)
수(洙)
락(洛)
호(浩)
동(東)
목(穆)
병(柄)
병(炳)
섭(燮)
희(熙)
재(在)
중(中)
채(埰)


참조

[1] 논문 한국인의 기원에 관한 중고생의 의식과 『국사』교과서와의 관계 http://www2.lib.yama[...] Yamagata University 2012
[2]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상주주씨 尙州周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6
[4] 학술지 한국인의 기원에 관한 중고생의 의식과 『국사』교과서와의 관계 https://yamagata.rep[...] 山形大学歴史・地理・人類学研究会 2012-03
[5] 웹사이트 주씨(周氏) 본관(本貫) 상주(尙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8
[6] 인물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